전체 글 (24) 썸네일형 리스트형 정보보안기사 18회 합격률 현황 2013년 1회부터 2021년 18회까지 정보보안기사 합격률 현황입니다. 21년도 기사 합격률은 최악이였습니다. 17회에 너무 낮은 합격률이 였기에 18회 합격률이 좀 높지 않을까 싶었는데 극악을 보여주네요. 21년을 마지막으로 정보보안기사는 KISA에서 시행하지 않고 한국전파진흥원(KCA)로 이전된다고 합니다. 아마 극악의 합격률에서 조금 높은 합격률로 되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수험생 여러분 힘내시기 바랍니다. 정보보안 국가기술 자격검정 합격자 현황 구 분 응시자수 합격자수 합격률 2013년도 제 1 회 기사 필기 6,491 2,241 34.50% 실기 1,802 53 2.90% 산업기사 필기 973 272 28.00% 실기 221 103 46.60% 제 2 회 기사 필기 3,80.. 정보보안기사 17회 합격률 현황 2013년 1회부터 2021년 17회까지 정보보안기사 합격률 현황입니다. 정말 이번엔 최악의 난의도 였습니다. 합격률이 1%도 되지 않습니다. 자격증 조건이 너무 높은거 같습니다. 정보보안 국가기술 자격검정 합격자 현황 구 분 응시자수 합격자수 합격률 2013년도 제 1 회 기사 필기 6,491 2,241 34.5% 실기 1,802 53 2.9% 산업기사 필기 973 272 28.0% 실기 221 103 46.6% 제 2 회 기사 필기 3,806 859 22.6% 실기 1,385 157 11.3% 산업기사 필기 833 180 21.6% 실기 215 46 21.4% 2014년도 제 3 회 기사 필기 3,455 614 17.8% 실기 1,275 86 6.7% 산업기사 필기 926 209 22.6% 실기 23.. 정보보안기사 16회 합격률 현황 2013년 1회부터 2020년 16회까지 정보보안기사 합격률 현황입니다. 정보보안 국가기술 자격검정 합격자 현황 구 분 응시자수 합격자수 합격률 2013년도 제 1 회 기사 필기 6,491 2,241 34.5% 실기 1,802 53 2.9% 산업기사 필기 973 272 28.0% 실기 221 103 46.6% 제 2 회 기사 필기 3,806 859 22.6% 실기 1,385 157 11.3% 산업기사 필기 833 180 21.6% 실기 215 46 21.4% 2014년도 제 3 회 기사 필기 3,455 614 17.8% 실기 1,275 86 6.7% 산업기사 필기 926 209 22.6% 실기 231 49 21.2% 제 4 회 기사 필기 3,105 518 16.7% 실기 1,283 229 17.8% 산업.. 정보보안기사 15회 합격률 2013년 1회부터 2020년 15회까지 정보보안기사 합격률 현황입니다. 정보보안 국가기술 자격검정 합격자 현황 구 분 응시자수 합격자수 합격률 2013년도 제 1 회 기사 필기 6,491 2,241 34.5% 실기 1,802 53 2.9% 산업기사 필기 973 272 28.0% 실기 221 103 46.6% 제 2 회 기사 필기 3,806 859 22.6% 실기 1,385 157 11.3% 산업기사 필기 833 180 21.6% 실기 215 46 21.4% 2014년도 제 3 회 기사 필기 3,455 614 17.8% 실기 1,275 86 6.7% 산업기사 필기 926 209 22.6% 실기 231 49 21.2% 제 4 회 기사 필기 3,105 518 16.7% 실기 1,283 229 17.8% 산업.. ICMP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IP는 신뢰성이 없고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 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 IP 프로토콜은 오류 제어와 지원 메커니즘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 IP 프로토콜은 오류 보고와 오류 수정 기능이 없다. - IP 프로토콜은 호스트와 관리 질의를 위한 메커니즘도 없다. ICMP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다. 오류 보고 메시지는 목적지로 가는 IP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문제를 나타낸다. 질의 메지는 호스트가 목적지로부터 특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분 타입 메시지 Error reporting message 3 Destination unreachable 4 Source quench 5 Re.. IPv6 프로토콜 IPv6의 개요 - IPv6는 IPv4의 주소가 소진으로 인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IPv4 주소의 경우 32비트 주소 체계이나 IPv6의 경우 128비트 주소 쳬계로 구성되어 있다. - 128비트 주소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2^128개의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거의 무한대의 IP 주소이다. - 128비트 주소 공간 중 64비트는 네트워크 주소, 64비트는 호스트 주소로 구분되어 있다. - 128비트 주소 공간은 16비트씩 8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분은 콜론(:)을 사용한다. IPv6의 주요 특징 128비트 주소길이 - 주소 길이가 증가하여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향상된 QoS(Quallity of Service) - IPv6는 QoS(Quallity of Servic.. IP 프로토콜 구조 IPv4 프로토콜 - 비연결형 프로토콜(Connectionless Protocol)이며 연결 상태를 유지 하지 않으며, 패킷 전송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 비신뢰성 프로토콜(Unreliable Protocol)이며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하지 않는다. IP 프로토콜의 헤더 구조에 대한 설명 1. Version (4 bits) - 현재로는 버젼 4(IPv4)를 사용 2. Header Length(HLEN) (4 bits) - 헤더의 길이. 32비트(4 바이트) 워드 단위로 헤더 길이를 표시 3. Type of Service (ToS) Flag (8 bits) -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을 나타냄,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4. Total Packet Length (16 bits) - IP 헤더 및 데이터를.. 서브넷팅,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팅 서브넷팅 - 서브넷팅(Subnetting)은 네트워크에서 서브넷을 이용하여 작은 몇 개의 네트워크로 나눌수 있게 한다.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이다. 네트워크 주소를 나눠서 사용하는 것은 관리 측면에서 아주 유용하다. IP 주소는 32비트 체계이다. 네트워크(Net ID)와 호스트(Host ID)로 나타난다. 많은 호스트가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전송하면 네트워크가 혼잡해지므로,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전송되는 패킷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네트워크를 작게 나누는 것을 서브넷팅이라고 한다. 서브넷 마스크 디폴트 마스크를 사용하면 1의 수(8, 16, 24)를 미리 정해진다. Net ID가 어디인지 Host ID가 어디 까지 인지 알수 없다. 서브넷 마스크..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