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다중화 장비(Multiplexing)

반응형

(1) 다중화의 개념

다중 DTE가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결합된 형태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후 수신측에서 전송한 원래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분해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2) 다중화의 종류

①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방식

다중화하고자 하는 각 채널의 신호를 각기 다른 반송 주파수로 변조하여 다중화하는 방식

전송 매체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전송하고자 하는 각 터미널의 신호 대역보다 넓을 경우에 적용

②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

다수 개의 디지털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분할하여 채널을 공유하여 다중화하는 방식

타임 슬롯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방법에 따라 비트 삽입식과 문자 삽입식으로 분류

타임 슬롯 할당의 규칙성에 따라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구분

③ 지능 다중화기(Intelligent Multiplexer) 방식

데이터 통신에서 여러 채널의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 매체로 보낼 수 있게 하는 다중화 장치

④ 광대역 다중화기(Group Band Multiplexer)방식

광대역 데이터 회로를 위해 설계된 다중화기

⑤ 역 다중화기(Inverse Multiplexer) 방식

하나의 신호를 2개의 저속 신호로 나누어서 전송하는 장치

하나의 채널이 고장나더라도 1/2의 속도로 계속 운영이 가능

출처 : http://w3.incom79.com/incom79_view/certif_haeksim_jungri.asp?cart_no=&class_code=59&class_gubun=&open_class_file_no=2234

반응형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 ITU-T 권고 중 X 시리즈  (0) 2020.01.24
통신회선 - 꼬임선(UTP, STP, FTP)  (0) 2020.01.24
패킷 교환망 기능  (0) 2020.01.24
분해능, 해상력  (0) 2020.01.24
다중화 장비(Multiplexer)  (0) 2020.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