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해능 또는 해상력 (Resolving power 또는 Resolution)
ㅇ 아주 작은 차이를 분별해내는 기기의 능력
※ [비교] 렌즈와 같은 광학계의 결상 능력에서 `해상도`,`분해능`,`해상력` 의미 차이 - 해상도 : 동영상/이미지 등이 얼마나 자세하게 표현될 수 있는가의 척도
- 분해능 : 기기가 갖는 최대 능력 (가장 좋은 조건하에서의 해상력) . 흔히, 분해능은 파장에 따라 달라짐 . 아주짧은 파장을 쓰면 분해능을 높힐 수 있음
☞ 전자 현미경 등 참조 - 해상력 : 주변여건에 따른 기기의 한계 분해능
2. 분해능 척도 ㅇ 판별 가능 최소 눈금 변화량 = (동작범위) / (눈금 수) - 단위 눈금 당 신호 변화량 - 백분율 분해능(% 분해능)
※ 일반적으로, 분해능 수치가 작을수록 성능이 좋아지며, 그만큼 기기 가격도 높아짐.
3. 주요 기기별 분해능 (작을수록 좋은 분해능)
ㅇ [센서,계측기] 분해능 - 분리 식별이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의 최소 변화량 . 주로, `백분율 분해능(%)`으로 표현 * 표현 단위 : % 등
ㅇ [광학계] 해상도 또는 분해능 ☞ 공간 해상도(또는 분해능) 참조
- 사람의 눈,현미경,망원경 등 광학계가 확대된 이미지의 가까이 있는 두 점 간을 구분 할 수 있는 능력/성능 . 주로, `최소횡축거리`로 표현 * 표현 단위 : ㎛, ㎚, pm 등 - 例) 현미경 분해능 R ≒ 0.61λ/NA = 0.61λ/(n sinθ) . 여기서, NA = n sin θ : 개구수 [무차원] . 결국, 파장(λ)이 짧을수록, 렌즈의 크기(NA)가 커질수록, 공간 분해능이 좋아짐
ㅇ [눈의 해상력(Visual Acuity)] - 주로, 대상 물체에 대해 변별이 가능한 시야 각도 . 최소분리시각 1분(1')각 = 1.0 표준 시력 * 표현 단위 : 각도
ㅇ [스펙트럼분석기] 분해능 대역폭 - 인접 주파수 성분들 간을 분리식별할 수 있는 능력 * 표현 단위 : Hz
ㅇ [레이더] 레이더 거리 분해능 (Range Resolution) - 인접한 두 표적 사이의 최대분리가능 거리 * 표현 단위 : m, km 등
4. 주요 기기별 분해능 (클수록 좋은 분해능)
ㅇ [A/D,D/A 변환] 양자화 분해능 - 양자화된 신호를 2진 부호로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
* `비트 수`로 표현
. 표현 비트 수가 커질수록 가격이 높아짐
ㅇ [디지털 수 표현] 고정소수점 표현 - 인접한 두 수 간의 차이 * `비트 수`로 표현 (2-n에서 비트 수 n) . 클수록 저장 메모리 많이 소요됨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 ITU-T 권고 중 X 시리즈 (0) | 2020.01.24 |
---|---|
통신회선 - 꼬임선(UTP, STP, FTP) (0) | 2020.01.24 |
패킷 교환망 기능 (0) | 2020.01.24 |
다중화 장비(Multiplexing) (0) | 2020.01.24 |
다중화 장비(Multiplexer) (0) | 2020.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