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프로토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물리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적인 단말과 링크이다. 물리적인 주소(MAC)를 사용한다.
이더넷, Wi-Fi, 토큰링, PPP, SLIP, FDDI, ATM, 프레임 릴레이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네트워크 계층)
- 단말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이다.
주요 프로토콜 : IP(Internet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GMP(Internet Group Message Protocol)등을 사용한다.
IP(Internet Protocol) - 비연결형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를 물리적인 주소로 변환해 주는 프로토콜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물리적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프로토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송신자에게 데이터의 문제를 알려 주기 위한 메시지 프로토콜
IGMP(Internet Group Message Protocol) - 수신자 그룹에게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메시지 프로토콜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호스트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계층
TCP, UDP, DCCP, SCT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신뢰성 있는 스트림(stream) 전송 프로토콜
UDP(User Datagram Protocol) - 비신뢰적인 데이터그램 기반의 비연결형 전송 프로토콜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을 합친 계층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사용하는 많은 프로토콜이 있으며 많은 프로그램에서 이용된다.
DNS, TFTP, TLS/SSL, FTP, HTTP, IMAP, IRC, NNTP, POP3, SIP, SMTP, SNMP, SSH, TELNET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주소,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0) | 2020.01.27 |
---|---|
IPv4 프로토콜 (0) | 2020.01.27 |
OSI 7 계층 (0) | 2020.01.26 |
통신 프로토콜의 의미와 구성요소, 기능 (0) | 2020.01.26 |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의 차이 (0) | 2020.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