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통신 프로토콜의 의미와 구성요소, 기능

반응형

프로토콜이란?

 

시스템간에 통신을 하기 위한 약속이다. 

 

프로토콜의 구성요소

 

구문(Syntax) :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을 나타낸다. 데이터가 표현되는 순서를 의미한다.

의미(Semantics) : 전송 제어 데이터의 각 항목을 가지는 의미를 의미

타이밍(Timing) : 신호의 지속 시간, 신호의 순서 데이터 송수신 동작방식을 정의하는 것 의미

 

 

프로토콜의 기능

 

단편화(Segmentation) : 전송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전송하 는 것

재조립(Reassembly) : 단편화를 통해 분리되어 수신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것

캡슐화(Encapsulation) : 전송 데이터에 제어 정보(송·수신자의 주소, 오류검출 코 드, 프로토콜 제어 등)를 추가하는 것

오류 제어 : 전송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오류유무를 검사하여 오류발생 시 송신측에 재전송하게 하는 것

순서 제어 : 수신된 데이터들이 순서대로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

흐름 제어 : 수신측의 처리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송 데이터의 양과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

 

표준제정위원회

 

국제표준화기구(ISO :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 각국의 표준제정위원회에서 선정된 위원들로 구성된 다국적 기구이다. 전 세계적인 국제표준을 협의하는 임의 단체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전기통신영역(ITU-T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s Sector)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부문의 하나로 통신 분야의 표준을 책정하며 스위스 제네바 시에 위치해 있다. ITU의 표준화 작업은 국제 전신 연합의 탄생과 더불어 186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47년에 이 부문은 국제 연합의 전문 부서가 되었으며 국제 전신과(CCITT)는 1956년에 창설되었다. 이것이 1993년에 ITU-T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미국립표준협회(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 ANSI는 미국에서 임의 표준의 국가조정기구로서 역활을 하며, 나아가 미국 경제의 증진 방안으로서 표준을 채택하고, 공중의 이익에 참여하여 보호할 것을 기구의 목표로 명시하고 있다. ANSI의 구성원은 전문학회, 산업협회, 정부 및 관리기관, 소비자 단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전기전자공학회(IEEE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전문공학 학회이다. 국제적인 규모로서 IEEE는 전지공학, 전자공학, 무선공학 및 공학의 제반 관련분야에 대한 학술증진, 창안, 제품의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IEEEE 설립 목표 중 하나는 컴퓨터와 통신의 국제 표준을 개발, 채택하는 것을 감시하는 것이다.

 

전자산업협회(EIA : Electronic Industires Association) : ANSI와 함계 전자산업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기관이다. EAI는 표준의 제정과 공중의식 교육, 업계 로비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정보기술 분야에 있어서 EIA는 데이터 통신의 물리적인 연결 인터페이스와 전자 신호의 규격을 규정하는 등의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

 

반응형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프로토콜  (0) 2020.01.27
OSI 7 계층  (0) 2020.01.26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의 차이  (0) 2020.01.24
정보통신 ITU-T 권고 중 X 시리즈  (0) 2020.01.24
통신회선 - 꼬임선(UTP, STP, FTP)  (0) 2020.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