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에서 국가수준 에서의 정보통신 관련 표준화를 수행하는 기관은 정보통신부 산하의 한국정보통신기술 협회(http://www.tta.or.kr)와 산업자원부산하의 기술품질 원(http://www.ats.go.kr)등 단 두 곳뿐이다. (더 정확히 표현하면 기술품질원은 KS표준 중 정보기술 분야 표준화(KS X)를 수행한다.
. 정보통신표준과 정보화표준의 관계
무선통신에서도 언어와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약속된 바를 따라야 한다. 이는 하나의 국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적인 규정과 약속을 따라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조정하고 관장할 국제적인기구가 필요한데 이의 대표적인 것이 국제 전기 통신 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ITU)으로서 데이터통신에 관한 표준 안은 이 연합체의 산하기관 인 국제 전신전화자문위원회( International Telegraphy and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e ; CCITT)에서 주로 제정되고 있다.
. 국외 표준화 활동
국제표준화 활동은 국제표준화기구 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UN 산하의 기구인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애서 이루어진다. 이들 기구는 표준화 활동의 결과로 ISO는 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 : IS)을 제정하며, ITU는 권고(Recommendation)를 제정한다. 이들 표준을 공식(De jure) 표준이라 한다.
ISO(국제표준화기구)는 1946년 10월 런던회의에서 25개국의 국가표준단체 대표들이 발의하여, 1947년에 설립되었으며, 전기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비정부 국제기구 이다.
ISO 표준의 성격은 표준화에 따른 이해당사자(공급자, 사용자, 정부 등)들이 재료의 선정과 분류, 제품의 제조,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적합성을 가지고 적용되어야 할 규격에 대한 협정이며, 기술분야에 대한 ISO의 결정은 권고사항 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자원부 산하의 기술표준원(http://www.ats.go.kr)이 대표기관으로 가입되어 있다.
. ISO국제표준
ISO 국제표준화활동을 통해 만들어지는 표준을 ISO 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국제표준이라고 부른다.
주요업무
· 산업 전 분야에 대한 국제표준 연구, 개발 촉진
- 전기, 전자 분야의 표준화는 IEC가 담당
- 정보기술분야의 표준화는 ISO/IEC JTC1이 담당
· ISO 규격 발행, 판매, 홍보 및 보급
· 국제기구(UN), 표준화 기구(IEC, ITU 등), 소비자 단체 등과 협력체제 구축
산업 전 분야에 대한 국제 표준화를 전문위원회 별로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전기, 전자 분야의 표준화는 IEC에서 수행하며, 정보기술 분야의 표준화는 ISO/IEC JTC1에서 수행한다.
전문위원회(TC : Technical Committee)는 기술 분야별로 183개 전문위원회와 TC 산하에 620여 개의 분과위원회(SC : Sub Committee)를 두고 있으며, SC산하에 1,900여 개의 작업그룹이 있다.
§ITU
1865년 유럽국가 들을 중심으로 유선전신에 관한 국제협력을 위해 설립된 만국전신연합이 무선기술의 발달로 인해 유 무선 통신을 포괄적으로 취급하게 되면서, 1932년에 오늘의 국제전기통신연합으로 재 탄생되었다.1947년에는 전기통신, 전파통신, 위성통신, 방송 등의 국제정보통신 분야를 총괄하는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에서의 전문기구로 그 위상을 정립하였고, 1992년 추가 전권위원회를 개최하여, 급증하고 있는 국제 및 지역기구들 가운데 주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 국제전기통 신헌장(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Constitution)과 국제전기통신협약(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Convention)을 대폭 개편하여 이를 준수하고 있다.
1996년 6월 현재 185개 회원국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52년 ITU에 가입하였으며 정보통신부가 대표기관으로 되어 있다.
. ITU권고안
ITU 국제표준화활동을 통해 만들어지는 표준은 ITU 권고안(Recommendations)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ITU 국제표준이라고도 부른다.
. 주요업무
ITU는 설립 목적을 이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기능을 수행한다.
¨국가간의 유해한 전파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주파수 스펙트럼 분배 및 할당 주파수 등록, 정지위성의 궤도 위치 등록
¨국가간 유해한 전파간섭 방지를 위한 조정, 주파수 이용 개선 및 정지위성의 궤도 이용개선에 따른 국가간 분쟁조정
¨범 세계적인 전기통신 표준화 추진
¨ 개발도상국의 전기통신설비 구축 및 개선을 위해 필요한 기술 및 설비의 국제적인 지원 도모
¨ 우주기술을 사용하는 각종 통신장비 개발 조정
¨효율적인 통신서비스를 보장하는 최소한의 수준에서 전기통신요금을 설정토록 하기 위하여 회원국간의 협력 촉진
¨전기통신업무의 협력을 통하여 인명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수단 확보 도모
표준화 분야
ITU는 전파통신부문(ITU-R), 전기통신부문(ITU-T), 정보통신개발 부문(ITU-D)의 3부분으로 나누어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1. 전파통신부문(ITU-R) :
세계/지역전파통신회의, 비상근 전파규칙위원회, 전파통신총회와 산하연구반 및 자문반으로 구성
2. 전기통신부문 (ITU-T) :
세계 전기통신 표준화 회의 아래에 전기통신표준화국, 산하연구반 및 자문반으로 구성
3. 정보통신개발부문(ITU-D) :
세계/지역 정보통신 개발회의와 산하연구 반 및 자문위원회로 구성
ITU 의 4개의 산하기구
¨사무국: 등록, 재정, 문서, 회의 등의 업무를 관장
¨국제주파수 등록평의회(international Frequency Regist Board; IFRB): 국내외 이용 주파수 등록, 분배, 관리 관장
¨국제 무선통신 자문위원회(International Radio Consultative Committee; CCIR): 무선통신에 관한 기술적인 문제와 권고 안을 CCITT 와 협의하여 제정하며 실질적으로는 CCITT와 공동 보조를 취한다.
¨국제전신전 화 자문위원회(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e; CCITT)
CCITT에서는 매 4년마다 회의하여 권고 집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데이터통신 시스템과 깊은 관련이 있는 거로서는 전화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관련 권고의 V 시리즈와 공중 데이터 통신망 관련의 X 시리즈가 있다. 이는 5개 부류의 회원으로 구성되며 권고 안을 만드는 총회에서의 투표권은 통신 담당 국가기관에 있는 A회원에게만 주어진다.
X 시리즈 권고 안
-X 시리즈 권고 안은 공중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의 표준으로서 종합정보통신망으로 발전하는 현 시점에서 널리 응용되는 표준안이다. 그 개괄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번호 내용
X.1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국제 이용자 서비스 분류
X.2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국제 이용자 설비
X.3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분해, 조립 장치
X.4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 CCITT No.5 코드의 구
X.20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비동기 전송을 위한 DTE,DCF의 접속규격
X.20BIS V.21과 호환성이 있는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비동기 전송을 위한 DTE,DCF의 접속규격
X.21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DCF의 접속규격
X.21BIS V시리즈 동기식 변복조기에 맞게 설계된 DTE와 PDN에서 사용
X.24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DTE와 DCF사이의 인터체인지 회로에 대한 정의
X.25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패킷형 단말기를 위한 DTE 와 DCE사이의 접속 규격
X.26 IC로 된 장치로 불평형 복류 회로의 접속부의 전기적 특성
X.27 IC로 된 장치로 평형 복류 회로의 접속부의 전기적 특성
X.28 동일 국내의 PDN에 연결하기 위한 DTE/DCE접속
X.29 패킷형 DTE와 PAD 사이에 제어정보 및 데이터 교환에 대한 절차
X.40 기초 군을 주파수 분할하여 전신과 데이터 채널을 만들기 위한 주차수 편이 방식의 표준화
X.50 동기식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국제적 접속을 위한 다중화 방법
X.51 10비트 포락선 구조를 사용한 동기식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국제적 접속을 위한 다중화 방법
X.60 동기식 데이터통신 방식에서 공동 채널 신호(이용자 부분)
X.70 비동기식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국제 회선에 스타트-스톱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단말기 및 공중제어 신호방식
X.71 동기식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국제회선에 분산된 단말기 중계제어 신호방식
X.75 패킷 교환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 상호간의 접속을 위한 노드 사이의 프로토콜
X.92 동기식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가상적 기준 연결
X.95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파라메타
X.96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의 호출진행 신호
참고 자료목록
한국 전산원:http://www.nca.or.kr/main/nca_main.htm
컴퓨터대사전 아이누리http://dic.inuri.com/search.asp
컴퓨터용어사전: http://www.cprice.co.kr/cdic/
데이터 통신공학: 공병옥 저, 진영사 page 57~
출처 : http://madang.ajou.ac.kr/ 정지연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 프로토콜의 의미와 구성요소, 기능 (0) | 2020.01.26 |
---|---|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의 차이 (0) | 2020.01.24 |
통신회선 - 꼬임선(UTP, STP, FTP) (0) | 2020.01.24 |
패킷 교환망 기능 (0) | 2020.01.24 |
분해능, 해상력 (0) | 2020.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