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의 차이 Multiplexing: 서로 다른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들이 같은 통신 채널이나 전달 매체를 공유한다. Multiple Access: 서로 다른 사용자(혹은 기기)들이 같은 통신 채널이나 전달 매체를 공유한다.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의 공통점 하나의 통신 채널이나 전달 매체를 공유한다. Multiplexing과 Multiple Access의 차이점 1. Multiplexing은 주로 end-point가 두 개인 단대단 통신 환경에서 사용하지만, Multiple Access는 주로 여러 개의 end-point가 있는 다중 사용자 통신 환경에서 사용한다. 전송선은 전송타임슬럿을 달리하는 TDM을 사용합니다. RF에서는 주파수를 달리하는 FDM을 사용합니다.. 정보통신 ITU-T 권고 중 X 시리즈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가수준 에서의 정보통신 관련 표준화를 수행하는 기관은 정보통신부 산하의 한국정보통신기술 협회(http://www.tta.or.kr)와 산업자원부산하의 기술품질 원(http://www.ats.go.kr)등 단 두 곳뿐이다. (더 정확히 표현하면 기술품질원은 KS표준 중 정보기술 분야 표준화(KS X)를 수행한다. . 정보통신표준과 정보화표준의 관계 무선통신에서도 언어와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약속된 바를 따라야 한다. 이는 하나의 국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적인 규정과 약속을 따라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조정하고 관장할 국제적인기구가 필요한데 이의 대표적인 것이 국제 전기 통신 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ITU)으로서 데이터통.. 통신회선 - 꼬임선(UTP, STP, FTP) 반적으로 랜선이라고 하면 그냥 단순하게 한종류만 있는 줄 알고 계실텐데, 실제로는 몇가지 골라야 하는 사항이 있습니다. 아래 각 항목 분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카테고리(CAT) 2. 단선과 연선 3. UTP/STP/FTP 케이블 [ 랜선의 종류 - 1. 카테고리 ] 카테고리, CAT., Category 라는 구분법은 간단히 말하면 대역폭(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으로 UTP 케이블의 성능을 구분한 구분법입니다. 대역폭에 따라 전송 속도 차이가 나서 같은 시간동안 전송하는 데이터 량이 많고 적음의 차이로 나타나며 일반 가정에는 100Mbps의 회선이 들어가기 때문에 전송속도 1Gbps 이상(CAT.5E 이상)을 지원하는 랜선을 사용하시면 최대 속도만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높은 .. 패킷 교환망 기능 패킷 교환망은 단말에서의 전문(電文)을 패킷이라고 불리는 정해진 긴 블록(block)으로 망내(網內)를 전송하는 것이다. 기본 구성을 도시하면 그림과 같으며, 기본 기능은 다음 표와 같다. 패킷 교환망의 기본기능 기본기능 설명 대응하는 교환장치 패킷 교환기능 패킷을 보다 먼저 교환을 하는 기능 패킷 교환기 패킷조립, 분해기능 (PAD 기능) 비패킷 형식의 데이터를 패킷으로 변환(또는 그 역으로 변환)하는 기능 패킷 다중화 장치 패킷 다중기능 복수의 패킷을 모아 패킷 다중을 하는(또는 그 역변환을 하는) 기능 패킷 다중 장치 망에 접속된 단말은 패킷에 의하여 정보를 취급하는 패킷 단말(PT : Packet mode Terminal)과 문자열(文字列)에 의하여 정보를 취급하는 일반 단말(NPT : Non.. 분해능, 해상력 1. 분해능 또는 해상력 (Resolving power 또는 Resolution) ㅇ 아주 작은 차이를 분별해내는 기기의 능력 ※ [비교] 렌즈와 같은 광학계의 결상 능력에서 `해상도`,`분해능`,`해상력` 의미 차이 - 해상도 : 동영상/이미지 등이 얼마나 자세하게 표현될 수 있는가의 척도 - 분해능 : 기기가 갖는 최대 능력 (가장 좋은 조건하에서의 해상력) . 흔히, 분해능은 파장에 따라 달라짐 . 아주짧은 파장을 쓰면 분해능을 높힐 수 있음 ☞ 전자 현미경 등 참조 - 해상력 : 주변여건에 따른 기기의 한계 분해능 2. 분해능 척도 ㅇ 판별 가능 최소 눈금 변화량 = (동작범위) / (눈금 수) - 단위 눈금 당 신호 변화량 - 백분율 분해능(% 분해능) ※ 일반적으로, 분해능 .. 다중화 장비(Multiplexing) (1) 다중화의 개념 다중 DTE가 하나의 통신회선을 통하여 결합된 형태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 후 수신측에서 전송한 원래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분해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2) 다중화의 종류 ①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방식 다중화하고자 하는 각 채널의 신호를 각기 다른 반송 주파수로 변조하여 다중화하는 방식 전송 매체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전송하고자 하는 각 터미널의 신호 대역보다 넓을 경우에 적용 ② 시분할 다중화(TDM) 방식 다수 개의 디지털 정보를 나타내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분할하여 채널을 공유하여 다중화하는 방식 타임 슬롯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방법에 따라 비트 삽입식과 문자 삽입식으로 분류 타임 슬롯 할당의 규칙성에 따라 동기식과 .. 다중화 장비(Multiplexer) • 다중화란 하나의 물리적 전송 매체를 여러 개의 논리적 통신 채널이 공유할 수 있도 록 해주는 작업, 즉 여러 데이터 터미널 장치(DTE)들이 한 통신 회선을 통하여 결합 된 형태로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이를 원래의 형태로 다시 분배하는 것을 말함 • 다중화기는 다수의 단말기들이 각 신호를 하나의 통신회선에 결합된 형태로 전송하 면 수신측에서 이를 다시 분리하여 각 수신장치에 입출력하는 장비로 선로의 공동 이 용, 간단한 구조, 대량의 정보 전송의 특징이 있음 2) 다중화기의 종류 •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FDM: Frequency Division Mutiplexing) : 일정한 폭을 가진 주파수를 여러 개의 작은 대역폭으로 나누어 다수의 저속도 장비들을 동시에 이용하 는 장비 •.. 이전 1 2 다음